故 김용균 씨가 일했던 태안화력발전소. <br /> <br />김 씨가 사고를 당한 컨베이어 벨트 외에도 위험은 곳곳에 도사리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상은 / 인권 활동가 : 일단 추락의 위험 같은 것들이 있고요. 일단 되게 높은 데 올라가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그 외에도 석탄을 한꺼번에 너무 많이 받아서….] <br /> <br />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인체에 치명적인 일산화탄소에 노출됐지만, 안전장치 하나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[태안화력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: 일산화탄소가 너무 높아서 구토 증세를 일으키신 분이 계셔요…. 그 냄새가 너무 독해서 머리가 다들 아프다고.] <br /> <br />목숨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 위험한 일은 모두 하청 비정규직 노동자의 몫. <br /> <br />태안화력발전소에서 비정규직들이 당하는 차별은 인권 피해 사례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하청 노동자들이 주로 작업하는 일터에는 화장실조차 없어 생리현상 해결도 어려웠습니다. <br /> <br />개선을 요구해도 무시당하기 일쑤. <br /> <br />원청과 하청의 차별은 더 노골적이었는데,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출입증은 색깔부터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[이태성 / 한전산업개발 발전지부 사무처장 : (원청의)출입스티커에는 그냥 지나가지만 하청은 일일이 다 내려서 신분증 검사라든지 이런 것들을 검사하는 형태로 저희가 항상 (차별을) 받아왔었죠.] <br /> <br />인권운동가들은 원청과 하청으로 나뉜 태안화력발전소의 구조적인 문제가 정규직이 비정규직을 무시하는 구조를 만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하청 노동자들의 요구에 조금만 귀 기울였다면, 김용균 씨 사고는 없었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전주희 / 서교인문사회연구실 대표 : 조합원들이 끊임없이 설비개선의 문제나 위험에 대한 문제를 증언해 왔지만, 사측은 계속 그런 것들을 들어오지 않았고…. 핵심은 외주화로 인해서 노동자의 모든 권리가 배제당하는 데에 있는 거고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달라진 게 없어 제2의 김용균 사고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며 직접 고용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김우준 <br />촬영기자 : 윤원식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12513574925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